회전근개파열 알아보자 이렇게!
회전근개파열의 허와 실을 알아보는 시간1
오늘날 어깨통증질환 중에서 단연 1위를
앞 달리고 있는 회전근개파열이라는 질환은
말도 많고 탈도 많은 질환입니다. 여러 매스컴에
잘못된 치료가 보도됨으로써, 환자들의 촉각을
곤두세우게 된 이 회전근개파열이라는 질환은
치료하기 그리 어려운 질환은 아니오나, 파열이라는
단어의 위화감이 과도한 수술을 집행시키기도 하고,
또한 비수술이라는 말로 스테로이드제를 투여하기도
합니다. 위험하지 않지만 위험천만한 치료들이 오락가락하면서
집중을 받게 된 회전근개파열 질환, 어떻게 치료받아야 할까요?
|
|
회전근개파열, 원인은 힘줄의 섬유화(굳어짐)
회전근개파열의 원인은 먼저 힘줄의 섬유화라는 점을
기억해주셔야 합니다. 섬유화란 힘줄이 굳어지는 증상인데요.
어깨의 무리한 사용이나, 과도한 사용, 혹은 노령화나
스트레스로 인해서 힘줄이 서서히 굳어지다 닳고선
떨어지게 되는데요. 이 과정에서 초점을 맞춰야 할 것은
회전근개파열이 시작되는 섬유화이며, 상한 회전근개는
차선적인 문제입니다.
만일 이 회전근개의 섬유화를 먼저 치료하지 않고서는
회전근개를 치료할 수 없으며 설령 한다 해도 밑빠진
독에 물붓는 격이 되는 셈입니다. 질환의 진행을 막아준
다음, 증세를 치료해야 하는 셈이지요.
따라서 섬유화를 치료하기 위해선 수술이나 주사가
필요한 것이 아니며, 간혹 회전근개가 끊어지거나
치료받기 어려운 만큼 상한 경우(매우 드뭅니다)
주사로 통증을 가라앉힌다음 수술로 이어붙인
다음, 치료를 받는 과정을 거칩니다.
|
회전근개파열에 있어 무엇보다 중요한 건, 치료의 초점이
어디에 맞춰졌냐는 점, 이 점은 회전근개파열의 가장
중요한 핵심이 되고 있습니다. 오늘은 회전근개파열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대단히 감사합니다.